미국주식 배당금 세금은 얼마? – 배당소득세, 금융소득종합과세

미국주식 배당금 세금은 얼마를 내야 할까요?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많은 분들이 꼭 알아둬야 할 세금 이슈! 이번 포스트에서는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금융소득종합과세, 그리고 최근 논란이 된 Section 899 보복세까지 최신 정보를 담았습니다.

미국주식 배당에 최대 35% 세금

 

 

📊 세금 비교표

구분 과세 대상 세율 비고
양도소득세 연간 해외주식 손익 → 2.5백만원 공제 후 22% (지방소득세 포함) 공제 후 과세 대상 수익에만 적용
미국 배당소득세 미국 주식/ETF에서 배당 발생 시 기본 15% 한·미 조세조약 적용
국내 배당소득세 원천징수 후 한국 신고 ≈15.4% 외국납부세액공제 적용 가능
금융소득 종합과세 배당+이자 합산 연 2천만원 초과 시 최대 42% 종합세율 적용

 

 

양도소득세

  • 매년 1월 1일 ~ 12월 31일 기준 해외주식 매매 차익 합산
  • 연간 2.5백만원까지 비과세, 초과분에 22% 세율 적용
  • 예시: 1,250만원 수익 → 250만원 공제 → 22% 적용 → 220만원 세금
  • 양도소득은 배당소득과 달리 종합과세 되지 않음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계산식

 

[매매차익 – 250만 원] x 0.22

배당소득세

  •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되어 입금
  • 한국 신고 시 추가로 약 15.4% 과세되나,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중복과세 조정 가능
  • 국내 증권회사를 통해 배당금 수령 시 해외에서 원천징수 + 원천징수세율 차액 추가 징수
  • 배당+이자 금액이 연 2천만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되어 최고 42% 세율 적용



📌 배당소득세 상세 설명

 

1. 미국 원천징수 – 15%가 떼여서 입금

미국 상장 회사나 ETF에서 배당이 발생하면, 미국 세법에 따라 자동으로 15% 원천징수가 이뤄집니다 (이는 qualified dividend 기준 미국 내 비거주자 세율).
예를 들어 배당이 1,000만 원이라면, 미국에서 150만 원을 공제한 850만 원이 증권계좌에 입금됩니다.



 


2. 한국 신고 시 추가 과세 – 약 15.4%, 그러나 외국납부세액공제로 중복 제거

  • 미국에서 이미 15%를 원천징수했지만, 한국에서는 배당 및 이자소득에 대해 14% 소득세 + 1.4% 지방소득세 = 총 15.4%를 원천징수합니다.

  • 만약 미국 세율이 한국보다 낮으면 차액만큼 한국에서 추가로 과세하고, 반대의 경우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국내 세금에서 미국 세금을 일정 한도 내에서 공제합니다.

예시:

  1. 미국에서 배당 1,000만 원 수령 → 미국에서 15%(150만 원) 공제 → 850만 원 수령

  2. 한국에서는 기본 원천징수로 15.4%인 154만 원 과세 →

    •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이미 지급된 150만 원 차감 →

    • 결과적으로 4만 원만 추가 납부 (가정)

주의할 점: 외국납부세액공제는 최대 한도가 있어, 미국에서 납부한 세액 전부를 공제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공제한도 계산식: 종합소득세 × 해외소득비율)




3. 금융소득종합과세 – 배당 + 이자 합산 2,000만 원 초과 시

  • 배당소득 + 이자소득을 합산한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초과하면, 단순 원천징수로 끝나지 않고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 종합소득세는 누진세율(6~46.2%) + 지방세가 적용되며, 일부는 원천징세분(10~15.4%)보다 많을 수 있어 추가 세금 납부가 발생합니다.

  • 예를 들어:

    • A씨: 금융소득 2,500만 원, 근로소득 포함 시 → 초과 500만 원에 대해 고율 과세 → 추가분 세 부담 발생

    • B씨: 금융소득 1,800만 원 → 원천징수 15.4%로 종결, 종합과세 대상 아님

 

해외증권사에 직접 계좌를 만들어 투자한 경우

금액에 관계 없이 무조건 국내에서 종합과세되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다만, 해외에서 원천징수 된 세금은 외국납부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국내 금융회사를 통해 해외주식에 투자한 경우

해외에서 원천징수, 그리고 국내 금융회사가 국내 원천징수세율(15.4%)과의 차액을 추가 징수 후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추가 세금신고 의무가 없지만, 다른 금융소득과 합해 연간 2,000만 원이 초과되면 종합과세되어 세금신고를 별도로 해야 합니다.

즉, 미국주식 배당금은 2천만 원 이하의 경우 이중과세 방지를 위해 15.4%의 배당소득세를 국내 금융회사를 통해 원천징수되고, 배당금이 2천만 원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로 별도로 개인이 세금신고를 해야 합니다.

  • 2찬만 원 이하: 15.4% 원천징수, 세금신고 안 해도 됨
  • 2천만 원 초과: 금융소득종합과세, 5월 세금신고 해야 됨

 

 

💡 실전 팁

  1. 배당금 수령 시 미국에서 이미 낸 세금이 얼마인지 확인하고, 한국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꼭 챙기세요.

  2. 금융소득(배당+이자)이 연 2,000만 원 근처라면 미리 절세 전략(예: ISA, 연금계좌)을 고민해 보세요.

  3.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금융소득에 대한 정확한 계산과 원천징세 증빙 제출이 중요합니다.

이처럼 배당소득세는 미국 원천징수 → 한국 추가 과세 → 필요 시 종합과세 대상이라는 흐름으로 구성됩니다. 각 단계에서 세율과 공제 및 신고 요건을 잊지 마세요! 😊



Section 899 보복세 최근 동향 ⚠️

2025년 5월 22일 하원에서 통과된 일명 “revenge tax”(Section 899)는, 미국이 자국 기업에 불공정 과세를 하는 국가에 대해 외국 투자자에게 최대 +20%p까지 세금을 추가로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하원안은 연간 +5%p씩 4년간 단계 인상, 상한 +20%p, 즉 원천세율이 최대 50%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후 상원 심사에서 수정되어, 적용 대상은 “exterritorial tax”(DST·UTPR 등)를 도입한 국가로 한정되며, 최대 +15%p 인상, 시행 시점은 2027년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더욱이, 최근 재무부와 G7 협상 결과 하원안내 Section 899 조항이 **의회 내부에서 삭제 요청**을 받았으며, 실제 법안 통과 시에도 수정안이 적용될 전망입니다.

 

실전 팁 & 요약

  • 양도소득세: 250만원 초과분 22%
  • 배당소득세: 미국 15% → 국내 약 15.4% (외국납부세액공제 가능)
  • 금융소득종합과세: 연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적용
  • Section 899: 시행 시 미국 배당세율 최대 35%–50% (현재는 불확실)

✅ 미국주식 배당금 세금 마무리 정리

  1. 매년 5월, 홈택스에서 양도·배당소득 정확히 신고
  2. 배당 발생 시 외국납부세액공제 꼭 활용
  3. Section 899 국회 및 재무부 동향 지속 확인
  4. 추가 보복세 도입 시 ETF·배당주 수익률 재계산 필요

 

미국주식 투자자라면 배당소득세 구조와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에서는 배당금 수령 시 15% 원천징수가 자동으로 이뤄지며, 이에 더해 한국에서도 약 15.4%의 배당소득세가 추가 과세됩니다. 다만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이중과세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여기에 더해, 배당과 이자를 합한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을 경우, 분리과세가 아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최대 42% 내외의 높은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원천징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종합소득 신고 과정에서 추가 세금 부담이 생길 수 있다는 뜻이므로,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미국주식 배당금 세금은 얼마인가? 라는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은,

  •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 한국에서 15.4% 추가 과세 (외국납부공제 활용),

  •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을 초과하면 누진세율 적용

이라는 세 단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절세 전략으로는

  1. 연간 금융소득을 2,000만 원 이하로 관리,

  2. 외국납부세액공제 활용을 잊지 말고,

  3. 필요하다면 ISA나 연금계좌 등 절세계좌를 활용하여 세금을 줄이는 방법을 적극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이 미국주식 투자자 여러분의 세후 실수익 계산절세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블로그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임야로 돈 버는 방법 5가지

그린벨트 임야로 할 수 있는 행위 5가지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방법 및 기간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리신청 방법

SmileLife

Recent Posts

카카오톡 오류코드 -999, 11001 원인부터 해결까지 완벽 정리

카카오톡 오류코드 -999, 11001 원인부터 해결까지 완벽하게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카카오톡 사용 중 오류코드 -999 또는…

1개월 ago

암 다빈치로봇수술 실비보험 보상기준과 최대한 보장 받는 방법

암 다빈치로봇수술 실비보험 보상기준(자기부담금)과 최대한 보장 받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병원비 걱정은 누구에게나 큰 부담입니다. 특히…

1개월 ago

2025 첫만남이용권 둘째 지원 금액 신청 지급일 사용처

“2025 첫만남이용권 둘째 지원금액 신청 지급일 사용처”에 대해 정확하고 알찬 정보를 찾고 계신 예비 부모님들을…

2개월 ago

고용지원금 대상 환급 조회 신청방법 (+2025년 버전)

🏢 2025년, 사업주라면 절대 놓치면 안 될 핵심 정보 대방출! 이 글에서는 고용지원금 대상에 내가…

3개월 ago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 임야로 할 수 있는 행위 5가지 (+활용방법)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내 임야는 본래 환경 보호 및 도시 확산 억제를 위해 엄격히 관리되지만, 최근 법령…

3개월 ago

민생회복지원금 취약계층 소비쿠폰 50만원 신청 방법 조건

민생회복지원금 취약계층 소비쿠폰 50만원 신청 방법과 조건을 자세히 알아갈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

3개월 ago